티스토리 뷰
반응형
UUID는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의 약자로, 전 세계적으로 고유한 값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자. 주로 데이터베이스 키, 파일 이름, 네트워크 식별자 등 충돌 없이 고유한 값을 생성해야 할 때 사용됩니다.
✅ UUID의 특징
- 128비트(16바이트) 크기의 고유 식별자
- 거의 중복되지 않음: 이론적으로 전 세계에서 동시에 생성해도 중복 확률이 매우 낮음
- 사람이 읽기 어려운 형태지만, 시스템 간 고유 식별을 위해 최적화됨
- 일반적으로 16진수 문자열로 표현됨
예:
550e8400-e29b-41d4-a716-446655440000
✅ UUID의 버전
UUID는 다양한 생성 방식(버전)에 따라 종류가 나뉩니다:
버전 | 생성 방식 | 설명 |
1 | 시간 기반 + MAC 주소 | 과거에 많이 사용됐지만, 보안 문제가 있음 (MAC 주소 노출) |
3 | 이름 기반 (MD5 해시) | 이름과 네임스페이스를 이용해 생성 |
4 | 랜덤 기반 | 가장 일반적이며 충돌 확률이 매우 낮음 |
5 | 이름 기반 (SHA-1 해시) | 버전 3과 유사하지만 해시 알고리즘이 다름 |
✅ 사용 예시
-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키 (PK)
- 세션 ID
- 파일/이미지 고유 이름
- API 키 등
반응형
'이것저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모니터링 명령어 (0) | 2025.06.26 |
---|---|
코파이럿(Copilot) 기능과 사용법 (1) | 2025.06.24 |
Kubernetes (0) | 2025.06.04 |
Docker 명령어 (0) | 2025.06.04 |
Ubuntu SSL 인증서 (0) | 2025.06.04 |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array_combine
- privatechannel
- createfromformat
- Laravel
- ubuntu
- strict_types
- 명령어
- researcher
- php
- mysql
- facades
- #collect
- curl_multi_init
- uniqid
- 설정
- swagger
- laravel 11
- 설치
- laravel 테스트
- jp:a
- wsl
- reflectionclass
- call_user_func
- #php
- PYTHON
- ob_get_contents
- WSL2
- flask
- laravel 12
- 비동기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